GitHub

https://github.com/Backcoder-June

BackCoder 기록 그리고 숙달

분류 전체보기 171

[JSP] action 태그 forward / include / param

[[ action 태그 ]] - url 이동시키는 것과 관련된 Java 코드를 간결하게 만들어 제공 ( forward / include / param ) 1. [ include ] - 여러개의 jsp파일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jsp 파일이 있으면, include 해서 사용 ( ex. 광고페이지를 어느 페이지를 가던 붙여놓고 싶다거나 ) - include 해서 사용할 JSP에게 주도권을 빌려줘서 처리하고, => 합치면서 다시 원래 JSP로 주도권을 가져온다. => 응답하는 주체 : 원래 JSP => include 는 두 개의 파일에서 만들어진 HTML 뷰단을 다 포함시킨다. ( forward 방식은 forward 받은 파일의 HTML 뷰단만 표시한다. ) ex.) 1번문장 2번문장 => 1번문장 out ..

Back to the JSP 2022.08.10

[JSP] exception 처리 1. errorPage / 2. web.xml

[ JSP 에서 Exception 처리하기 ] - 먼저, JSP 에선 Java 코드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try catch 로 예외처리도 가능하긴 하다. - 근데, JSP 에서는 따로 편하게 예외처리 하는 방법을 제공해준다. 1. errorPage 설정 : error 발생시 따로 처리할 페이지 설정 - 요청을 처리할 현재 JSP 파일이 exception 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해당 JSP 파일의 페이지 지시자 태그에 => error 발생하면 처리 할 errorPage 를 따로 설정해둔다 ( 예외없으면 그대로 실행 / 예외발생시 errorPage 이동 ) 2. isErrorPage 설정 : 내가 error 처리하는 page 다! - error 처리하기로 설정해둔 jsp 페이지에서 설정 해두고, ( t..

Back to the JSP 2022.08.10

[JSP] Servlet / JSP 진행순서

[ 서블릿 방식 모양새 ] ------------------------------ ( Java ) DTO DAO Servlet ( Webapp ) HTML ------------------------------ 1. HTML 에서 사용자 요청 받음 => form action 으로 Servlet 에 URL 로 날림 2. Servlet 에서 @WebServlet("URL") 로 요청 받아서 처리 3. Servlet 에서 Response 로 직접 현재 URL 에 응답 [ 응답 방법 ] - String 에 " " 따옴표로 태그 담아서 한번에 print 응답 - 변수 => Java 변수명 그대로 사용 + " " 따옴표 if (role.equals("admin")) { output = id + " 관리자님 로그인 ..

Back to the JSP 2022.08.09

[JSP] 구성요소들 <%@ / <%= / <%! / <%--

[[ JSP 구성요소 ]] 1. HTML 태그 - html / css / JS / jquery 등 그대로 사용 2. Directive 태그 (1) : 페이지 지시자 태그 ( jsp 파일의 시작 ) 페이지에 대한 정보 알려줌 -contentType 세팅 필수 ( resp.setContentType 자동 ) -import 세팅은 자동으로 해줌 (2) 이거해줘야 exception 객체 사용가능 등의 세팅을 추가하는식으로 사용 3. 자바문장 ( 스크립트 태그 ) : (1)주석문 : 자바일땐 안에서 //주석 사용가능 html 일땐 사용 가능 : 이렇게 주석처리하고 TomCat 형님한테 보내면, 주석까지 변환하고 컴파일해서 응답한다. ( 웹브라우저단 소스보기에서 주석으로 표시됨 ) ( 자바 // 주석은 페이지소스보..

Back to the JSP 2022.08.09

[JSP] Servlet => JSP 차이

[[ JSP ]] : Java Server Pages ( = Jakarta Server Pages ) 웹 개발 발전 단계 : Servlet => JSP => MVC - 웹 프론트단이 복잡해지면서 자바에서 PrintWriter 가지고 " " 따옴표 써가며 구현하기가 빡세다. - 서블릿에 자바 비지니스로직과 뷰단코딩이 같이 섞여 있다보니, 가독성도 떨어지고 개발 후 유지 관리 불편함 => [ Java 클래스 내부에 HTML 이 " " 따옴표로 포함된 형태 ] => 역발상 => [ HTML 내부에 Java 클래스를 로 포함시키자 ] : JSP 1. 기본적으로 HTML 파일 처럼 사용 - WebApp 폴더에 저장 ( .jsp 파일 ) 서블릿 : Java 폴더 - HT..

Back to the JSP 2022.08.09

[[ Session /applicaiton ]] 공유데이터를 서버에 저장 => set / get

RequestDispatcher rd = req.getRequestDispatcher("second"); - RequestDispatcher 는 공유할 서블릿을 '하나' 지정해서 1 : 1 로 공유하는 관계였다면, 공유할 서블릿 : setAttribute => 서블릿 지정 => forward(req,resp) 공유받을 서블릿 : getAttribute 이를 확장시켜서, - 하나의 서블릿 데이터를 => 다른 모든 서블릿에서 가져다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게, Session 이다. 공유할 서블릿 : Session생성 => setAttribute 공유받을 서블릿 : Session생성 => getAttribute [[ Session ]] : 공유할 클라이언트 정보가 있으면,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해놓고 지속 사용..

Back to the Servlet 2022.08.08

[Servlet] RequestDispatcher / set/getAttribute / sendReirect("url");

[ RequestDispatcher ] : 요청 공유해서 처리하기 - HTTP 통신에서 [ 요청 - 응답 ] 이 많으면 서버에 무리를 줄 수 있다. - 요청에 대한 처리 작업이 A 서블릿 코드도 거쳐야 하고, B 서블릿 코드도 거쳐야 한다면, 원래대로라면 A 에서도 http [ 요청 - 응답 ] 발생, B 에서도 http[ 요청- 응답 ]이 발생한다. => RequestDispatcher 를 사용해서 A 서블릿에서 받은 요청 정보를 B에 넘겨 공유할 수 있다. - A 서블릿은 받아온 요청의 입력값을 ( req.getParameter ) 1차 처리 한다. => 1차 처리한 결과물을, RequestDispatcher을 이용해 B 서블릿한테 넘겨준다. => B 는 http 요청을 할 필요 없이, 서버에서 친구..

Back to the Servlet 2022.08.08

[Servlet] Maven 맨바닥 Servlet 세팅 (intellij)

[[ Maven 맨바닥 Servlet / JPA 셋팅 ]] (intellij) 1. Maven 으로 프로젝트 생성 => *webapp 모듈 추가해서 생성 2. main에 java 파일 생성 - main 안에 webapp 은 있는데, java 가 없다고 당황하지 말자. (intellij) => new - directory 하면 "java 경로폴더" 를 만들수 있게 해준다. 3. Tomcat(WAS) 연동 4. UTF-8 세팅 및 Language level 맞추기 Language level (1) pom.xml 11 11 (2) 프로젝트 module - Language 레벨 통일 (3) Setting - java Compiler language 레벨 통일 (same as 로 default ) - UTF 는 ..

Back to the Servlet 2022.08.06

Tomcat 연동 / Tomcat UTF-8 설정 ( intellij )

[ Tomcat 과 Intellij ] 일단, intellij community 버전을 사용하면 내장 smarttomcat 만 사용이 가능한 듯 하다. ( ultimate 버전은 따로 tomcatserver 설치가 가능하다. ) [[ Tomcat 연동 ]] 1. edit configuration => Tomcat Server 추가 2. Application server : 톰캣 설치된 폴더 경로 3. URL : 기본 URL 설정 4. VM options : -Dfile.encoding=UTF-8 ( UTF-8 맞추려면 설정 ) 5. HTTP port : 다른거랑 안겹치게 적절히 설정 6. Deployment 설정 : 해당 프로젝트로 설정 1단계 연동이 끝났다면, 2단계가 남았다. 언어코드를 맞춰줘야, t..

Back to the Servlet 2022.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