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https://github.com/Backcoder-June

BackCoder 기록 그리고 숙달

Back to the JSP 13

[JSTL] url 맵핑 <c: import / redirect url=" " >

[ URL 맵핑 넘기기 ] - URL 맵핑 넘기기는 Java에서부터, RequestDispatcher 을 사용해 forward / include 방식으로 가능했다. - JSP 액션태그를 사용하면 더욱 간단하게 사용이 가능했다. [ 자바 ] [ JSP action 태그 ] => 이것의 JSTL 버전을 url 태그로 만들어둔 것. [ JSTL 버전 URL 맵핑 ] : url 태그로, 맵핑할 url 을 변수로 담아두고 사용하면,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 바로 url 에 주소를 입력해도 된다. ) (1) import 방식 : 현재 페이지에 import 방식으로 url 주소에 담아둔 jsp 를 가져오겠다. ( 가져오면서, import 하는 jsp 에 파라미터로 ?name=jho&age=100 준 값으로 가져오..

Back to the JSP 2022.08.13

[JSTL] 조건문 <c:if /> <c:choose/when/otherwise />

- EL에서는 ${empty X ? A : B } 사용해서 조건3항연산자 정도만 사용 [[ JSTL if조건문 ]] - JSTL에서는 실행 태그 사용 - else 문 없다. => if 문으로 case 별로 조건 줘서 사용 - !(부정) 사용해서 조건을 세팅 해서 사용 true면 출력 false이면 출력 입력된 정보가 부족합니다. ${param.name} 님 성인인증 완료 ${param.name} 님 고등학생 인증 완료 ${param.name} 님 미성년자 입니다. ${param.name} 님 올바르지 않은 입력입니다. [[ JSTL choose 문 ]] : choose / when / otherwise - choose 로 switch 문 처럼 선언 해주고 사용 - when == if else - othe..

Back to the JSP 2022.08.13

[JSTL] 반복문 <c: forEach items var varStatus />

[[ JSTL 반복문 ]] : forEach - 배열 / Array / Map 다 사용 [ 기본 반복문 ] 반복문 결과 : ${eachcolor} - items : 뽑을 배열 / List / Map - var : 하나씩 담는 변수 [ varStatus 기능 제공 ] [ count / inedex ] ${ vs.count } 번째 색 : ${eachcolor} vs : varStatus 호출할 때 사용할 이름 아무거나 index : 0부터 번호 주기 count : 1부터 번호 주기 [ current ] 반복중일때 데이터 값 : ${ vs.current } current : 반복문 돌리면서 나오는 현재 결과 값 => 변수 따로 선언 안하고, 그냥 바로 뽑으려면 사용 [ first / last ]..

Back to the JSP 2022.08.13

[JSTL] <c: set /> 변수 : Java 와 EL 중개자

[[ JSTL ]] - JSP Standard Tag Library : 사용자정의 태그 라이브러리 - EL 까지는 JSP 가 기본으로 제공해주지만, 1. 변수 선언 2. 조건문 3. 반복문 특히나 이 기능들이 제대로 제공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런 기능들을 태그로 만들어, 편하게 사용하라고 라이브러리로 만들어 둔게 JSTL 이다. - 라이브러리 설치 ( dependency ) - 지시자 설정 필수 ( 페이지 지시자 밑에 설정 ) - uri 지정 필수 : JSTL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중 core 를 사용하겠다. - preifx : JSTL 사용할때, 접두사로 c 를 사용하겠다. ( core의 c 를 기본으로 사용한다. 코드 재활용성을 생각해 유저들이 c 로 맞추어 사용한다. ) ------------..

Back to the JSP 2022.08.13

[JSP] EL - Expression Language

[[ EL ]] ( Expression Language ) : 화면에 출력 쉽게 도와주는 JSP 전용언어 ( HTML 단에서 사용 ) [ isELIgnored ] (default) : 이엘 코드 있으면 무시 = false - true 로 하면 이엘코드 무시 - EL 은 기본적으로 를 타도할 목적을 갖고 있다. [ 화면출력 ] ${123} ${"문자"} ${true/false} : true 표시 ${null} : 공백취급 => 바로 웹에 출력이 된다. ( == 자바 out.print ) - 단순한 출력은 HTML로 바로 출력하면 되지만, EL 의 강점은 따로 있다. [ EL 기능 ] 1. 연산 기능 제공 2. 쉬운 get 표현 제공 - request.getParameter ( " id " ) => ${ p..

Back to the JSP 2022.08.11

jsp:useBean 사용시 jasperException 컴파일 오류. cannot be resolved to a type

[ useBean으로 class 가져다 쓸 때 ] 기본적으로 class 가져오는 경로를 적을 때, - default package 는 인식 못함 ( Java 패키지안에서 바로 있는 클래스 (X) 즉, 어디라도 package 안에 넣어줘야 인식한다 ) - 원래 사용하던 DTO 같은 클래스 객체가 인식이 안될때가 있다. org.apache.jasper.JasperException: JSP를 위한 클래스를 컴파일할 수 없습니다. Servlet.DTO cannot be resolved to a type ========= 해결법 ======== - 해당 클래스 복사해서 새 폴더에 넣어서 사용해보면 잘 진행된다. 정확한 이유는 아직 모르겠다. 사용하던 클래스를 해..

Back to the JSP 2022.08.11

[JSP] action태그 useBean / get||setProperty

[ 객체생성 action태그 ] : Java로 쓰는거 싫어하는 사람들을 위해 액션태그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해줄게. [ useBean ] : 자바 객체 생성 문장을 JSP action 태그로 표현 == id : 객체명 class : 클래스명 - 기본생성자 호출 ( 기본생성자 필수 ) - class로 가서 객체 가져와야 하므로, 패키지명도 같이 붙여줘야 한다. ( class 경로는 억지로라도 어떤 폴더 안에 있어야 한다. ) : 이 Bean객체 자체를 해당 scope 방식으로, setAttribute 에 담아두겠다. memberDTO m1 = new memberDTO( ); request.setAttribute( "m1", m1 ); == ( forward 방식 ) : memberDT..

Back to the JSP 2022.08.11

[ 서블릿 + JSP ] 효율적으로 섞어쓰기

[ 서블릿 + JSP 효율적으로 섞어쓰기 ] => 요청받고 처리하는건 Servlet 이 잘하고, 응답은 JSP 가 잘한다. => 섞어쓴다. 1. [ 요청 ] HTML / JSP : 웹페이지에서 사용자의 입력 => 요청 발생 => form action (url)로 날림 2. [ 요청 받기 ] Servlet [ 대장 Controller ] : (@Webservlet) 요청 받음 - 요청 값 받음 request.getParameter() - 전체적인 맵핑을 이 서블릿이 Control 한다. - 여길 거쳐서 맵핑되도록 짜는 방법 3. [ 요청 처리하기 ] Servlet : 요청 비지니스로직 처리 - DAO / DTO 이용 로직 처리 4. [ 응답은 니가해라 ] Servlet => JSP : setAttribut..

Back to the JSP 2022.08.10

[JSP] action 태그 forward / include / param

[[ action 태그 ]] - url 이동시키는 것과 관련된 Java 코드를 간결하게 만들어 제공 ( forward / include / param ) 1. [ include ] - 여러개의 jsp파일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jsp 파일이 있으면, include 해서 사용 ( ex. 광고페이지를 어느 페이지를 가던 붙여놓고 싶다거나 ) - include 해서 사용할 JSP에게 주도권을 빌려줘서 처리하고, => 합치면서 다시 원래 JSP로 주도권을 가져온다. => 응답하는 주체 : 원래 JSP => include 는 두 개의 파일에서 만들어진 HTML 뷰단을 다 포함시킨다. ( forward 방식은 forward 받은 파일의 HTML 뷰단만 표시한다. ) ex.) 1번문장 2번문장 => 1번문장 out ..

Back to the JSP 2022.08.10

[JSP] exception 처리 1. errorPage / 2. web.xml

[ JSP 에서 Exception 처리하기 ] - 먼저, JSP 에선 Java 코드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try catch 로 예외처리도 가능하긴 하다. - 근데, JSP 에서는 따로 편하게 예외처리 하는 방법을 제공해준다. 1. errorPage 설정 : error 발생시 따로 처리할 페이지 설정 - 요청을 처리할 현재 JSP 파일이 exception 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해당 JSP 파일의 페이지 지시자 태그에 => error 발생하면 처리 할 errorPage 를 따로 설정해둔다 ( 예외없으면 그대로 실행 / 예외발생시 errorPage 이동 ) 2. isErrorPage 설정 : 내가 error 처리하는 page 다! - error 처리하기로 설정해둔 jsp 페이지에서 설정 해두고, ( t..

Back to the JSP 2022.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