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https://github.com/Backcoder-June

BackCoder 기록 그리고 숙달

Git and GitHub 6

Git 추가 정리 fetch / log --oneline --all / windows 자격증명

[ git clone ] git clone 주소.git => 최상위폴더 만들어지고 그안에 clone git clone 주소.git . => 현재 디렉에 바로 clone [ fetch / pull ] : version 이 update 되어서 달라졌을 때, 바로 pull 땡기는게 아니라 fetch 를 먼저 땡겨봐야 한다. git fetch origin master => git log --oneline --all : (HEAD - MASTER) => 로컬의 version : (origin/master/HEAD ) => gitHub에서의 version => fetch 를 먼저 땡겨서, 현재 로컬의 버전과, hub 의 버전을 확인을 먼저 하고 이후에 pull 로 땡겨서 사용하자 [ branch ] branch 에..

Git and GitHub 2023.01.11

Merge - fast forward / 3 Way merging 전략

로컬에서 작업하면서 Branch 를 생성해서 작업했다면, 각 branch 별로 기능들 나눠져 있는걸 잘 정리정돈 해서, 하나로 만들어서 Push 해야 한다. 이 정리정돈 해주는 놈이 바로 merge 기능. 명령어는 매우 간단하다. git merge 브랜치이름 보통 로컬도 master 브랜치를 메인으로 쓰기때문에, master 브랜치에다가 나머지 자잘구리한 기능들을 합체 시키는 것이다. ( master 브랜치로 switch 해서 이동한 후에, 자잘구리들을 merge 해준다. ) 근데, 이 자잘구리 Branch 가 하나 일때는 별 문제가 없는데, 2개 이상이 되면, 조금 복잡해진다. *1. 자잘구리 Branch 1개 => "fast-forward merging 전략" (기본 전략) * ma..

Git and GitHub 2022.06.29

Branch 방을 따로 파자

먼저, - 깃허브에서 협업할 상대에게 권한 주고, 같이 push pull 하면서 작업하는 것 ( 깃허브 권한주기 => 해당Repository - setting - collaborator ) 여기에 Branch 가 더해지면서 Git이 꽃을 피운다. Branch : 특정 Commit 을 가리키는 포인터 git push origin master - "origin (깃허브 주소)의 master 브랜치로 push 하겠다" 기본 default 로 생성되있는 브랜치가 master 이고, 보통 서비스에서 이 master 브랜치가 master => "상용" 버전! => download 가능 / 고객에게 제공하는 버전 으로 쓰인다. 새로운 기능개발 /버그, 에러 수정 =>..

Git and GitHub 2022.06.29

Git에 저장하고 Github에 올린다

"분산" + "버전관리" 해주는 시스템 ( 설치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 ) 코드가 변화되어온 과정(히스토리)를 수정이 있을 때 마다 저장해줘서 개발되어온 과정 파악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전 버전과의 변경사항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다. => 주 기능 : - 언제누가어떤내용을 수정했는지 표시 - 복원 가능 ( 원하는 시점의 버전으로 돌아갈 수 있다 ) branch 활용 => 버전관리가 각자의 컴퓨터에도 유지가 된다. Local Computer Version DB version 1 ->특정버전으로 남긴다 = 커밋한다 version 2 - 수정사항만 저장 (commit) version 3 - 수정사항만 저장 (commit) version 4 -----> 실제 file // 즉,..

Git and GitHub 2022.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