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https://github.com/Backcoder-June

BackCoder 기록 그리고 숙달

Back to the Java 36

OOP 객체를 지향하는 프로그래밍을 지향하자

객체를 지향한다. 객체를 지향 안하면? 수많은 중복 코드들 복잡해지는 로직들 중요한 data들을 숨기기는 어려워질것이다. 이렇게 중복되어 사용되는 data 들. 메소드 로직들. 이러한 것들을 '클래스' 라는 공장을 통해 "객체"에 담는다. 최대한 객체로 만든다. 그리고 필요할때마다, data와 기능이 담긴 이 "객체"를 꺼내서 쓴다. ( Object, Instance ) 중복코드가 줄어들고 스펠링 오류 문제가 줄어들고 코드의 재사용성도 훌륭해지고 수정할 일이 있을 땐, 객체로 한방에 data에는 접근권한을 줘서 숨기기도 가능해진다. 객체를 지향할 수 밖에 없다. 객체님의 훌륭한 기능 4가지도 짧게 찬양해보자. 1. Encapsulation 캡슐화 (1) 묶기 데이터 ( 이름, 재산, 월급 ) Method..

Back to the Java 2022.06.12

Math.random() 메소드 이용한 디아블로 전투

Math.radom() - 게임쪽 개발에서는 거의 핵심이라 할 정도로 중요한 메소드가 아닐까 생각이 든다. 데미지 수치, 아이템 획득 확률 수치도 이 random 메소드를 활용해서 if 문으로 if( 0.000002 > Math.random()) { 아이템을 주도록 하지 } 이런식으로 확률 수치도 어느정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 ( Math.random 과 유사한 기능 ) java.util.Random 클래스 Random r1 = new Random( ); r1.nextInt( ); => 정수(무제한) r1.nextInt( 100 ); => 정수 (0=1){ System.out.println("현재 "+enemy.name+"의 남은 hp : "+ enemy.hp);} els..

Back to the Java 2022.06.09

Back to the Java - Static

static -> method / variables class cal { int a; int b; static int c; => 다 접근 가능. 대신, instance 로(c1.) 꺼내써야함 void sum(){ a + b } (o) 가장 평범 void sum(){ c } (o) c1.sum(a + b + c) (o) => Static 은 끼리끼리만 논다. 대신 직접 꺼낼수 있다. static void sum(){ a + b } (x) int a, b (x) static void sum(){ c } (o) static int c (o) calcul.(static)sum ( c ) (o) calcul.(static)sum ( a ) (x) c1.(static)sum (x)

Back to the Java 2022.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