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https://github.com/Backcoder-June

BackCoder 기록 그리고 숙달

Back to the JSP 13

[JSP] Servlet / JSP 진행순서

[ 서블릿 방식 모양새 ] ------------------------------ ( Java ) DTO DAO Servlet ( Webapp ) HTML ------------------------------ 1. HTML 에서 사용자 요청 받음 => form action 으로 Servlet 에 URL 로 날림 2. Servlet 에서 @WebServlet("URL") 로 요청 받아서 처리 3. Servlet 에서 Response 로 직접 현재 URL 에 응답 [ 응답 방법 ] - String 에 " " 따옴표로 태그 담아서 한번에 print 응답 - 변수 => Java 변수명 그대로 사용 + " " 따옴표 if (role.equals("admin")) { output = id + " 관리자님 로그인 ..

Back to the JSP 2022.08.09

[JSP] 구성요소들 <%@ / <%= / <%! / <%--

[[ JSP 구성요소 ]] 1. HTML 태그 - html / css / JS / jquery 등 그대로 사용 2. Directive 태그 (1) : 페이지 지시자 태그 ( jsp 파일의 시작 ) 페이지에 대한 정보 알려줌 -contentType 세팅 필수 ( resp.setContentType 자동 ) -import 세팅은 자동으로 해줌 (2) 이거해줘야 exception 객체 사용가능 등의 세팅을 추가하는식으로 사용 3. 자바문장 ( 스크립트 태그 ) : (1)주석문 : 자바일땐 안에서 //주석 사용가능 html 일땐 사용 가능 : 이렇게 주석처리하고 TomCat 형님한테 보내면, 주석까지 변환하고 컴파일해서 응답한다. ( 웹브라우저단 소스보기에서 주석으로 표시됨 ) ( 자바 // 주석은 페이지소스보..

Back to the JSP 2022.08.09

[JSP] Servlet => JSP 차이

[[ JSP ]] : Java Server Pages ( = Jakarta Server Pages ) 웹 개발 발전 단계 : Servlet => JSP => MVC - 웹 프론트단이 복잡해지면서 자바에서 PrintWriter 가지고 " " 따옴표 써가며 구현하기가 빡세다. - 서블릿에 자바 비지니스로직과 뷰단코딩이 같이 섞여 있다보니, 가독성도 떨어지고 개발 후 유지 관리 불편함 => [ Java 클래스 내부에 HTML 이 " " 따옴표로 포함된 형태 ] => 역발상 => [ HTML 내부에 Java 클래스를 로 포함시키자 ] : JSP 1. 기본적으로 HTML 파일 처럼 사용 - WebApp 폴더에 저장 ( .jsp 파일 ) 서블릿 : Java 폴더 - HT..

Back to the JSP 2022.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