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VA 와 Table >  
- 자바에서는 테이블 구조가 없으니 
 
테이블 => 객체모음 ( 배열, list, set, map ) 
column => 엔티티의 멤버변수 
레코드 => 객체 
구조로 만드는 것이다. 
< DAO > 
=> 자바에서 SQL 쿼리문을 사용하는 객체 (모아둔 클래스)  
< DAO 기본 구조 ( 이 구조를 지켜야 사용가능 ) > 
 
리턴타입 A(매개변수){ 
( 1.jdbc 드라이버 호출 - 특정 버전 이후 자동 ) 
2. 연결 
3. SQL 문 사용 
4. 연결해제 
 
( 기본 JDBC 연결해서 사용하는 그것이다. 코드 => JDBC연동 글. ) 
( 즉, JDBC 연결해서 쿼리문 사용하는 애들만 모아둔 걸 DAO 라 하는 것. ) 
 
< DTO > ( =ValueObject VO / =Data Object DO )
=> 데이터를 중간에 임시로 저장해서 전달하는 용도의 객체.  
 
Entity 클래스와 생김새가 똑같은데, 특히나 임시전달용으로 쓰이는 그릇을  DTO 라 한다. 
 
private int id; 
private String name; 
getter setter 
=> 이렇게
 
DAO(실제 JDBC 쿼리 수행)  
DTO ( 임시저장해서 전달하는 역할 )  
Main (실행하는 역할 )  
기능을 분리해서 각 역할을 수행하는 것 
'Back to the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DBC> PreparedStatement / ResultSet (0) | 2022.07.20 | 
|---|---|
| DAO 잡다한 실수들 (0) | 2022.07.19 | 
| JAVA 에서 SQL 문으로 DB 이용하기 (0) | 2022.07.18 | 
| JAVA => JDBC => MySQL DB 연동 (0) | 2022.07.18 | 
| Union합집합 / SubQuery 서브쿼리 / (0) | 2022.07.15 |